본문 바로가기
Worker

[K직장인] 직장 내 괴롭힘 증거 수집

by 그린미니 2023. 1. 17.
반응형

 대표라는 사람은 회사 일에는 도통 관심이 없는 모양이다. 회사의 주요 사업영역이 날아가기 일보 직전인데, 대책을 강구할 생각은 안 하고 하루 종일 대표실에 틀어박혀서 직원들을 어떻게 하면 괴롭게 할까 궁리만 하고 있는 거 같다. 대표가 나를 괴롭히기 시작한 건 11월 말이다. "K직장인" 카테고리를 보면 연차 관련 글이 있는데, 어떻게 발단이 된 건지 기록해 뒀다. 간략히 요약하자면, 진단서(발급 비용 20,000원)를 제출하지 않으면 무단결근 처리하겠다고 했고 내가 이에 불응하면서 괴롭힘이 시작되었다.

 

이거 직장 내 괴롭힘일까?

 많은 근로자들이 본인이 겪고 있는 부당한 일이 위법이란 사실을 모른 채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본인이 처한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직장 내 괴롭힘은 근로기준법에서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으며, 금지된 행위다. 이 규정을 위반할 시, 가해자는 3년 이하의 징역 혹은 3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게 된다.

제76조의 2(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사용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이하 "직장 내 괴롭힘"이라 한다)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근로기준법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조항은 일반적이고 포괄적으로 괴롭힘을 규정하고 있어서, 실제 상황에 적용할 시 논란의 소지가 있다. 때문에 고용노동부에서 직장 내 괴롭힘 개정 법 시행 전, "직장 내 괴롭힘 판단 및 예방/대응 매뉴얼"을 만들어 배포했다. 본인이 직장 내 괴롭힘 상황에 있는지 판단이 어렵다면, 매뉴얼 속 사례들과 대조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직장 내 괴롭힘 판단 및 예방·대응 매뉴얼 by 고용노동부

http://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190200639

 

직장 내 괴롭힘 증거 수집 어떻게 할까

  만약 본인이 직장 내 괴롭힘으로 가해자 혹은 사측을 신고하겠다는 결심이 서면, 그때부터는 마음을 굳건히 먹어야 한다. 문제를 수면 위에 떠올렸을 때, 분명 사측은 피해자보다는 가해자 측에서 움직일 것이며, 잘못이 오롯이 피해자에게서 기인한 것이라는 가스라이팅을 시전 하는 경우가 많다. 

 직장 내 괴롭힘은 폭행, 욕설, 성희롱 등 대놓고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피해자도 혼란이 올 정도로 은밀하고 교묘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식으로 진행될 경우, 증거 수집은 어려워진다. 하지만 해야 한다. 증거가 없다면 직장 내 괴롭힘을 인정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 나에게 진행되는 직장 내 괴롭힘은 회사 대표가 나와의 대면을 피하고 중간 관리자를 중간에 넣어, 업무 지시를 불명확하고 애매하게 하여 나의 업무적 능력이나 성과를 폄하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리고 중간 관리자를 본인의 채찍으로 활용하여 나에게 휘두른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나 외의 직장 동료들에게 한 명씩 면담을 진행하여 나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들을 수집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하는 내가 증거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동료들의 진술서도 있으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현실적으로 진술서를 받아내긴 어려울 것 같다. 

  1. 괴롭힘 일기를 쓴다. 퇴근 전 10분을 할애하여, 그날 있었던 일들을 객관적 사실에 기반하여, 내가 느낀 감정을 후술 하는 형태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기록 및 백업에 네이버메모가 편리한 거 같다. 폰으로도 PC로도 기록이 가능하고 사진이나 캡쳐본 들도 붙여 넣기 가능하다.
  2. 사내 메신저 및 외부 SNS 데이터를 백업한다. 직접/간접 관련 구별 없이 모두 백업 중이다. 내가 쓴 기록들을 증빙할 소중한 증거가 되어 줄 것이다.
  3. 출근 전 녹음기를 켜고, 퇴근 후 녹음기를 끈다. 언제 어느 상황에서 직접 증거가 나올 지, 알 수 없다. 하루 종일 켜 놓고, 관련 내용이 나오면 편집해 둔다. 도청 녹음은 불법이지만, 나의 목소리도 함께 녹음되는 상황에서의 녹음은 합법이다.

네이버메모
직장 내 괴롭힘 기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