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tertainment

디즈니 인어공주 흥행 참패, 블랙워싱 의혹

by 그린미니 2023. 6. 20.
반응형

2023년 디즈니 실사화된 인어공주는 사실상 흥행에 실패했다. 인어공주 손익분기점(BEP)은 한화로 약 1조 752억 원이지만, 현재까지 인어공주 누적 수익은 약 5,310억 원으로 겨우 50%에 미치고 있다. 흥행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디즈니 골수팬인 동북아 3국(한국, 일본, 중국)의 철저한 외면이 지목되고 있다. 미국 CNN은 인어공주의 흥행 실패의 원인으로 중국과 한국의 인종차별적 반응 때문이라고 보도하여, 역풍을 맞고 있다. 

230620 박스오피스 순위

 

디즈니, PC 주의를 향한 꺾이지 않는 마음

 

인어공주는 캐스팅 과정부터 잡음이 많았던 디즈니 영화다. 흑인 가수인 할리 베일리를 인어공주 애리얼(Ariel) 역에 캐스팅하면서 수많은 인어공주 팬들의 항의를 받았음에도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영화 제작을 진행했다. 영화가 완성되어 개봉된 후 사람들의 반응은 이전과 다르지 않다. "디즈니니까 특별한 게 있을지도 몰라"하는 마음으로 영화관을 찾은 관객들 중 대다수는 누구나 마음속에 하나씩 담아뒀던 어린 시절의 추억과 판타지에 대한 훼손으로 상실감을 맛봤다. 

 영화를 봤던 일부 관객들은 영화속 흑인어공주가 "나의 에리얼이 아니다, NotMyAriel·"라며 해시태그 운동까지 시전하고 있다.

 

 

이 와중에 앞으로 줄줄이 개봉할 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영화들의 캐스팅 문제가 또 불거지고 있다. 

2024년 개봉을 앞둔 백설공주 주인공역에 라틴계 배우인 레이철 지글러가 캐스팅됐다. 백설공주의 원제인 Snow-White는 는 주인공의 눈처럼 하얀 피부를 나타낸다. 이처럼 원작 제목 자체가 하얀 피부의 백설공주를 의미함에도 불구하고 갈색 피부의 힙한 라틴계 배우를 주인공으로 캐스팅했다는 것은 디즈니의 꺾이지 않는 PC주의를 향한 마음을 잘 나타낸다.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어 열연 중인 레이첼 지글러는 이 와중에 "백설공주 연기를 위해 피부를 표백하지 않겠다"라는 TMI를 시전 하며 백설공주 팬들의 분노를 자아냈다. 

백설공주 역 레이첼 지글러

 

6월 28일 공개를 앞두고 있는 디즈니+ 실사 영화 "피터팬&웬디" 역시 캐스팅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흑인 배우 야라 샤하디를 팅커벨 역으로 캐스팅한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억 속의 팅커벨과 너무나 다르기에 기존 피터팬 팬들은 충격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피터팬 & 웬디

22년 9월 8일로 거슬러 올라가면 디즈니+ 오리지널 피터팬이 있다. 피터팬 속 푸른 요정 역시 신시아 에리보가를 기용하여 논란이 있었는데, 당시에는 디즈니 PC 주의 공세의 초기 단계였던 점 그리고 주인공이 아니란 점 때문에 논란이 크지는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솔직히 푸른 요정이 너무 무섭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피터팬 푸른요정

 

디즈니는 왜 이러는 걸까?

 

월트디즈니 회장 제프리 카젠버그는 약 20여년 전 디즈니 직원들에게 서한을 띄웠다. A4 용지 28장 분량이라고 한다. 그는 스튜디오가 길을 잃었다며, 막대한 예산과 유명 배우에 의존하지 말고, 독창적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집중하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구시대적 가치관을 지닌 기존 인물들과 배경을 재설정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그런 방향성을 원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방향성이 지나치게 PC주의에 의존적이라는 반응이다. 

 

저명한 미국의 컨설팅사인 맥킨지에서는 앞으로 북미의 백인 인구가 줄고 유색 인종 비율이 높아질 것이기에 PC주의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영화 제작사는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 다는 보고서를 낸 바 있다. 장기적 관점으로 완전히 그릇된 분석은 아닐 수 있으나, 시기상조임에는 분명하다. 별개로, 원작의 고유한 설정을 훼손하는 것이 정치적 옳바름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PC주의가 궁금하다면,

https://greenms.tistory.com/entry/2023%EB%85%84-%EC%9D%B8%EC%96%B4%EA%B3%B5%EC%A3%BC%EC%99%80-PC%EC%A3%BC%EC%9D%9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