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롯데건설이 청량리 제 8구역 정비사업을 수주했다는 기사가 보도됐다. 청량리 제 4구역, 7구역에 이은 3번째 정비사업 수주라고 한다. 살면서 재개발, 재건축 관련 부동산 기사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사실은 정확히 두 가지 용어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혼용해왔다. 이번 기회에 재개발과 재건축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해보고자 포스팅을 작성해 본다.
부동산 재개발 사업은 무엇인가?
재개발 사업이란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되거나 불량한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 전체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다. 간단하게 요약해서 해당 지역 자체를 완벽하게 탈바꿈하는 작업이며 건물 뿐 아니라 인프라도 정비하므로 공공 사업적 성격이 강하다 .
재개발은 전체 연면적 기준으로 30년 이상된 건축물의 비중이 60%이상이어야 사업이 인가된다. 만약에 해당 지역에 신축 빌라가 우후죽순 처럼 생기고 있다면, 재개발 가능성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또한 공공재개발은 공공과 주민이 공동으로 시행하거나, 공공이 단독으로 시행할 수 있는데 두 경우 모두 주민의 동의가 필요하다.
- 공공 공동시행 : 조합원 또는 토지등 소유자 과반수 동의
- 공공 단독시행 : 토지소유자 2/3이상, 토지면적의 1/2 이상 동의
** 단독 시행 시, 기존 조합은 해산되며, 주민대표회의가 구성됨
재개발은 초과이익 환수나 분양 거주 의무 등은 없다. 그러나 공공성이 강하므로 전체 중 임대물량을 30% 확보해야 한다.

재개발 평균 소요기간
서울시에서 2000년 이후 38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통계를 낸 결과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부터 준공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퍙균 8.1년이었다. 정비 구역 지정부터라고 하니 후보지 선정이나 사전타당성 검토까지 도합한다면 실로 인내심을 가져야할 장기 프로젝트가 된다. 그렇기에 함부로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노리고 투자하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존버 정신을 마음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X 네이버/카카오 예매, 충전기 좌석, 영수증 발행 (0) | 2023.06.22 |
---|---|
일반관리비 항목 탐구 - 전기요금의 기초 (0) | 2023.06.15 |
티맵 운전점수 감점 요인과 100점 만드는 방법 (0) | 2023.06.10 |
자동차보험료 할인, 티맵 운전점수 초기화 방법 (0) | 2023.05.23 |
신장 질환의 원인, 증상 및 예방 (0) | 2023.05.20 |
K팝 아이돌 명품 브랜드 엠버서더 (0) | 2023.05.19 |
2023년 5월 16일, 전기 요금/가스 요금 인상 (0) | 2023.05.18 |
인구 절벽 시대, 여성도 군대 가야 한다?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