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2023년 자동차세의 정의와 연납할인

by 그린미니 2023. 1. 20.
반응형

 자동차를 구매한 지도 4년이 되었는데, 자동차를 소유함으로써 다양한 비용들을 지출한 거 같다. 돈 모으려면 뚜벅이로 살라는 이유를 제대로 체감해 버렸다.일단 자동차를 취등록 하면서 각종 세금으로 눈탱이를 맞았고, 매년 자동차세를 내야 했다. 세금에 있어서는 마치 아파트 한 채를 보유한 듯한 착각에 빠질 수 있다. 오늘은 자동차 보유 기간 중 납부해야 하는 자동차세에 대해 알아보자.

 

자동차세란 무언인가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나 법인이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다. 소유에 대한 세금이기에 자동차 운행여부와 관계 없이 납부해야 한다 자동차세는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지방세. 다만, 특별시, 광역시나 도에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세분화된 기초자치단체에 낸다. 예를 들어서 A라는 사람이 서울 노원구에 거주하며 아반떼를 소유하고 있다고 해보자. 이 사람은 서울시가 아닌 기초자치단체인 노원구에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자동차세는 보유 기간만큼의 후불이 원칙이다. 일 년에 두 차례 납부하며, 1월부터 6월까지 보유세를 6월에 7월부터 12월까지 보유세를 12월에 낸다만약에 A라는 사람이 1015일 자동차를 구매했다면, 1015일부터 일할 계산되어 12월에 자동차세를 납부하면 된다.

 

2023년 자동차세 산정 기준과 연납할인

 자동차세는 배기량(cc)에 cc당 세금을 곱하여 산정한다. 예를 들어서 A가 비영업용 K5 2022년식 1,999cc를 보유한다면, 1,999에 200원을 곱한 399,800원이 납부해야 한 세금이 된다.

 자동차세에는 연납할인이 존재한다. 일년에 두 번 납부하는 자동차세를 미리 한 번에 납부하면 할인 혜택을 준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2020년도 개정된 법안에 따라 2023년부터 매년 연납 할인율이 감소된다. 2022년 연납기준할인율은 10%였고 1월 납부 시(보유기간 334일) 할인율은 9.15%였으나, 2023년도에는 6.41%로 대폭 삭감되었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5%를 돌파하는 현 시대에 연납할인의 의미가 점차 퇴색되어 가는 것 같다.

자동차세 연납은 관할지가 서울 이외 지역인 경우 wetax나 wetax 스마트앱에서 간단히 신청할 수 있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기초자치단체를 방문하거나 전화하여 신청할 수 있다.

https://www.wetax.go.kr/main/?cmd=LPEPAC0R0

 

부가서비스 > 자동차세 연납 신청

 

www.wetax.go.kr

관할지가 서울인 경우, etax에서 신청할 수 있다.

https://etax.seoul.go.kr/index.html?20230120

 

서울시ETAX - 소중한세금! 알뜰하게 사용하겠습니다

 

etax.seoul.go.kr

 

반응형

댓글